요약 MySQL의 시스템 변수 : MySQL서버 기동에 필요한 변수값. 기준에 따라 글로발/세션변수, 동적/정적 변수로 나눌 수 있다. - 글로발: my.cnf에 기록된 값. 일반적으로 서버 기동중에 값을 바꿔도 config파일에 반영되지 않는다. - 세쎤: 클라이언트와 접속되어 커넥션 풀을 형성할 때 필요한 설정값. 세션 변수를 이용해서 커넥션별로 서로 다른 설정을 할 수 있고, 세쎤 변수는 서버에서 강제로 변경할 수 없다. 별도로 설정하지 않으면 기본값(글로벌 시스템 변수값)으로 지정된다. 만약 글로발 값, 세션 값이 같이 설정되있으면, 세션 값이 우선된다. 즉 글라벌 값을 바꿔도 반영되지 않는다. - 동적: 클라이언트와 접속된 후에도 설정을 바꿀 수 있는 값 - 정적: 클라이언트와 접속되면 바꿀 수..
요약 MySQL이 설치되면, 생성되는 파일 /etc/my.cnf : MySQL 서버 설정파일. default 설정은 테스트용으로는 적당하지만 실제 서비스용으로는 부적절하다. /var/log/mysqld.log : 에러 로그파일의 기본 경로. root계정 생성 시 설정한 비밀번호 확인 가능. initialize-insecure : 관리자 비밀번호 없음 initialize : 관리자 비밀번호 설정 가능 /usr/lib/systemd/system/mysqld.service : 자동으로 생성되는 파일. systemctl로 MySQL 서버 시작/종료 가능. systemctl start mysqld : 서버 시작 systemctl status mysqld : 서버 상태 systemctl stop mysqld : 서..
요약 01. MySQL사용이유: 오픈소스. 오라클보다 비용이 저렴하다. 근거: DB-Engines.com에서 2위 -> 안정적이고, 기능 및 성능이 좋아서 이러한 결과가 나왔을 것. (저자 생각입니다..) 02. 설치 - macOS만 읽고 설치 진행 메모 MySQL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은 1. 소켓 연결, 2. TCP/IP 연결이있다. local에서 작업할 때, host=localhost 옵션을 사용하면 MySQL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음 unix domain socket(inter proces communication의 일종)을 이용해서 연결한다(TCP/IP 사용하지 않음). host=127.0.0.1 옵션을 사용하면 TCP/IP 방식을 사용한다.
이번 스프린트 할 게 많던데 일단 푸시서비스 구현해야한다. FCM... APNS...??이번달은 리팩토링 책 읽으면 일단 수습 책 얼추 읽은듯하다. 독후감 써야한다.근데 리팩토링2판은 뭔가 실제로 짜보면서 읽어야할 것 같고 그럼 출퇴근 시 독서가 어려워지는데..git actions는 polling밖에 안떠오른다. 뭔가 다른 방법이 있나? 오늘 D한테 물어봤지만 아직도 모르겠다. 스프린트 끝나갈 때 쯤 한가해지면 D한테 다시 물어봐야겠다. - 단축키좀 많이 익혀야겠다.- MySQL workbench설정 해야함.- 독서 모임 시작함.
전반적인 내용 이 책은 MySQL의 아키텍처를 포함해, 8.0버전에 추가된 기능까지 깊게 다룬다. 단순 쿼리 작성법보다는 실무에서 개발/운영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배우게 되고, 쿼리분석이나 벤치마크를 통해 MySQL 기반 시스템을 어떻게 운영하고 개선해야할지 알려준다. 독서 전략 이 책은 두고두고 읽어야 하는 책이라 생각한다. 내 머리로는 한번에 읽고 다 기억하기에는 용량이 부족할 것. 따라서 아래 개념 및 응용을 확실하게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하자. 아키텍처 트랜잭션 인덱스 예제 코드 또한 주어진다. 직접 해보면서 읽을 것. (평일에 시간이 없으면 주말에 몰아서) 읽기만 한다면 백퍼 까먹는다!!! 다짐 데이터베이스를 제대로 배워본 적이 없다. 팀 프로젝트에서도 MongoDB를 썼기 때문에 RDBS는 쿼리 ..
오랜만에 일기를 쓴다.벌써 올해도 끝이다.좋은 팀에 들어와서 열심히 일하고 있다. 열심히 일하고 있지만 잔실수가 많아 걱정이다. 좀 더 꼼꼼히 해야하는데... 하지만 staging 서버에서 포인트 지급 테스트를 무수히 할 수도 없는 노릇이라 뭔가 답답하다. dev에서 하면 외부 연동 시스템 에러가 뜨고.. 진퇴양난이랄까 내년 1년 성장했다고 느끼려면 뭘해야할까L에게 물어봤을 땐, "L없이도 독립적으로 일을 맡아서 할 수 있을 정도가 되면" 성장했다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 그정도 되려면 구체적으로 뭘해야 할까? 앞으로 더 발목을 잡을 것 같은데 부디 L이 개발 관련해서도 잘 어드바이스 해주길 바란다. 이번주에는 내년에 내가 뭘해야 하는지 (하고 싶은 것이 뭔지 지금 내가 생각하기에는 경험이 부족한..
입사한지 일주일이 지나고있다. 갑자기 추워져서 안그래도 출퇴근 시간이 오래걸려서 힘들었는데 더 가중되는 느낌이다.그래도 밤에 잠은 잘와서 다행이다. 역시 사람은 밖에 나가야한다. python Django 프레임워크를 미리 학습하고 갔지만 팀에서 Go을 쓰고있었다. minor하지만 Go에 흥미를 느끼고 있었기 때문에 더 좋다.카프카도 공부해야한다. 수습기간 프로젝트 중에 가장 중요해보였기 때문에... 주말에는- 실전 카프카 개발부터 운영까지 읽기- go fiber로 간단한 CRUD만들기- go + kafka tutorial 이렇게 공부하는걸로
다음주까지 해야할 것OOP공부 - udemy강의 수강시작했다.알고리즘 - 세그먼트트리, 최대유량 앞으로 할 것pintos 다시하기 - LINE에서 면접 결과도 있고 프로젝트 당시에 파일시스템을 하나도 못했기 때문에.. 또 multi-oom에서 패배했기 때문에.. COW못했기 때문에.. 다시하고 싶다.6.824 듣기 - 분산 시스템 공부. assignment까지 꼼꼼하게 하고 싶다. 대략 3개월 ~ 6개월 정도 걸릴까 이런 공부할 때 항상 prerequisitie을 철저하게 공부한 다음에 하고 싶은 강박증이 있는데 이렇게 공부하면 안된다는 것은 대학시절에 교수님이나 선배님들이 말씀하셨기 때문에 공부하면서 부족한 곳을 보충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려고 한다.
오랜만에 알고리즘 문제 하나 풀었는데 푸는데 3시간이나 걸렸다. 이런 문제는 다음에 풀면 또 못풀게 뻔하다. 여러번 반복하면서 장기기억되도록 해야할 것 같다. ---------회사 들어가기 전 까지 할 것 - 프레임워크 기본적인 CRUD익히기: 월요일 밤부터 하고있는데 생각보다 많이 진도를 못 빼고있다.- 개미책 한번 다 읽기: 그동안 기초편만 보고 있었는데 중급편까지 읽어보자. 문제풀이는 검색에서 관련문제 찾아서 하기 요즘 계속 늦게 일어나고 있는데 조금씩 일찍 일어나보자.
오늘을 기점으로 모든 면접이 끝났다. LINE 최종면접에서 대답을 못한게 많았지만 그 자리까지 올라간 것 만으로도 꽤나 좋은 경험을 했다. 취업 준비기간 중, 첫 면접을 본 곳이 채널톡이라서 다행이었다.되돌아보면 1차 면접 중에서는 채널톡 기술면접이 제일 커버 범위가 넓었다. 거의 모든 cs분야에 대해 넓게 질문이 있었고, 면접 후 복기과정에서 많은 공부가 되었다. 2차 면접에서 JWT에 관한 면접 질문 중 같은 질문에 대해 (최종적으로는 올바른 답변을 했더라도) 여러번 핑퐁을 하게된 것이 떨어진 이유라 생각한다. 니어스랩은 "이번 면접에서 통과하시면"이라는 말이 매번 어두에 붙었던걸로 봐선.. 2차진행 전 이미 떨어진게 기정사실이었던 것 같다. 일정또한 재스케쥴링되었고 면접 당시에도 깊은 대화를 나..